[wanted 채용 공고 분석] 5. 기술 스택 분석(2) - 데이터 시각화
저번 포스팅까지 정규표현식과 nltk tokenizer를 이용하여 전처리를 완료했다. 또한 빈도 수 분석을 위해 Counter 함수로 빈도수를 체크하고 각 항목을 딕셔너리 형태로 저장하였다. 이제 전처리가 완료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현직 데이터 분석가에 따르면 실제로 시각화 과정이 다른 팀과의 협업, 혹은 프레젠테이션 과정에서 상당히 중요하다고 한다. 모두가 데이터와 분석 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갖춘 것은 아니다. 다른 부서, 혹은 의사 결정자에게 공들인 프로젝트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화 방법을 익혀야 하며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개인적인 toy project가 아니라 실제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분석 과정과 결과를 효과..